top of page
부흥의 우물
윤인구
부산대의 지성소 - 채플
1 우선순위의 문제
윤인구는 부산대 장전동 캠퍼스 개발이 시작되자 가장 먼저 채플을 지었습니다. 프린스턴 수학하던 시절의 건물을 본 따 만들었습니다.
이곳에서 기도하며, 다른 모든 캠퍼스 개발을 이루어 나갔습니다. 대학을 설립하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하나님께 있음을 고백하는 모습과 기도와 예배 우선의 신앙인 모습을 삶으로 가르쳐 주었습니다.


2 하나님 기뻐하시는 대학
원로 교수님들의 증언에 따르면, 윤인구는 항상 "어떻게 하면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대학교로 만들까" 고민하였다고 합니다. 국립대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입학식과 졸업식, 모든 주요 행사는 다 예배 였습니다. 항상 성가대가 모든 예식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올려 드렸습니다. 그림은 1958년의 성탄축하 기념 예배하는 모습입니다.
수업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것은 교회 종탑에서 울리는 종소리였습니다.
대학 내 기숙사에서 교회를 시작했습니다. 학생들은 윤인구를 교수님, 총장님이 아닌 아버지로 불렀습니다.

3 기독학생의 영적 요람
1959년에는 전국 기독학생 하기대회가 이 지성소에서 열렸습니다. 이 나라 이민족을 가슴에 품은 거룩한 청년들이 모여들었고, 은혜 받고 도전 받고, 삶을 주님께 드렸습니다. 약 60년 전, 정말 하나님의 은혜가 풍성했습니다. 물질적으로는 가장 가난했지만 영적으로는 온전한 하나님의 은혜의 시기였습니다. 연설을 하고 있는 학생의 열정과 헌신이 느껴지지 않나요?
지금 우리는 이 사진을 보고 어떤 도전을 느끼고 있습니까? 거룩한 다음 세대를 세워 나라의 장래를 맡길 수 있는 청년들이 이런 대회 하는 모습을 보고 싶습니다.


박물관으로 변한 지성소
하나님의 신이 떠나신 대학
강대상이 있던 자리에 인간들이 쓰던 깨어진 그릇이 귀중한 유물로 그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오늘 우리의 영적 현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놀라운 은혜에도 불구하고, 불순종과 배반의 역사가 있었습니다. 4.19 에 편승한 무리들이 윤인구총장을 비리로 억울하게 모함했고, 걷잡을 수 없는 데모 소용돌이 속에서 조용히 사표를 쓰고 대학을 떠나야 했습니다.
위대한 스승의 헌신과 사랑에 대한 존중과 존경이 없었습니다. 반역의 영이 역사했습니다.

지성소 회복 기도
하나님의 구름기둥 불기둥의 은혜와 위대한 스승 윤인구의 헌신을 다시 알게 된 것은 2008년 이었습니다.
그때 하나님께서는 "이 장소에 다시 하나님의 영광이 임할 것을 기도하라"는 마음을 주셨습니다. 우리 모두 국립대학교에서 그런 일은 일어날 수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주신 마음이기에 믿고 감사하며 기도했습니다. 주님 주신 마음이기에 주님께서 이루실 것입니다. 이 장소가 온전한 예배의 장소로 회복되는 날, 부산대에 교회가 다시 서는 날을 기대하고 기도합니다.

기도해 주세요.
-
현재 박물관의 벽에 손을 대고 "이 건물이 부산대의 예배 처소가 되게 해달라"고 기도해 주세요.
-
박물관 2층 전시실로 올라가셔서, 옛 강대상 앞에서 "이곳에서 하나님의 말씀이 다시 선포 되도록 해 달라"고 기도해 주세요,
-
여러분의 기도가 부산대의 지성소와 예배처소를 회복하는 힘이 됩니다.

대학을 존중의 영으로 회복하라
하나님께서는 이 나라에 존중의 영이 회복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십니다. 위대한 신앙의 선배가 너무나 많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영적 기갈이 임했습니다. 우리가 회개하고 돌아서면, 하나님께서 이 땅을 회복시켜 주실 것입니다.
천국에서는 존중이 화폐라고 합니다. 모든 좋은 것을 존중하면 다 살 수 있습니다. 어디 천국만이겠습니까? 온유함이 부족합니까? 온유한 사람을 존중하십시오. 그 온유함이 나의 것이 됩니다. 대학과 우리 사회에 존중의 영이 회복되기를 기도합시다.
bottom of page